사회 초년생 재무설계하기~ 어떻게?
단기적인 재테크가 아닌 인생전반에 걸친
재무설계를 하자~!
예전에는 재무설계의 개념이 정립되어있지않고 은행금리가 20%에 육박했던 시절에는 은행적금에 수입의 대부분을 저축하는 단조로운 포트폴리오를 대부분
가지고 있었습니다.
허나 지금의 사회초년생들에게는 상황이 다른 먼 이야기입니다.
먼저 이들은 누가 가르쳐 준 적이 없는데도 스스로 재테크나 재무설계의 방법들을 공부하고 터득하여 매우 공격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투자 위주로 가고있는 경향이 많습니다.
즉, 저축이나 투자에 있어서 기존 은행을 이용하기보다는 CAM나 MMF와 같은
증권사계좌로 급여통장을 만들며 단순한 적금보다는 채권과 적립식 펀드와같은 상품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먼 미래를 위해 꾸준한 장기적인 수익보다는 재테크 관점에서
목돈을 만드는 단기적인 수입에 집착한다는 것입니다
사회초년생은 처음으로 급여를 받을 때부터 재무목표를 분명히 가지고 그에따른 실천계획을 잘 수립해야 합니다,
즉 반드시 단기적인 재테크가 아닌 인생전반에 걸친 재무설계 관점에서
포트 폴리오를 확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회초년생 필수 재무설계 하기~!
1. 분명한 목표를 계획하고 실천하자
사회초년생이 재테크를 하는데 있어 가장 유념해야 할 사항은 목표로하는 목적자금입니다.
남성의 경우 결혼 시 마련해야 할 자금으로 주택자금을 우선 목표로 정해야하고
여성의 경우 결혼자금을 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필수자금을 제외한 나머지 자금은 저축해서 결혼 후의 경제적인 안정을 생각해야합니다.
즉 '있으면있는대로, 없으면 없는대로' 라는 식의 사고로 살아갈경우
선 지출, 후 저축의 구조로 이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결혼이전에 최대한 많은 저축을 해 놓아야 결혼할 때 충분한 목돈을 만들어
놓을 수 있으며, 주택을 구입하거나 전세를 얻는 대출자금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결혼 후에도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2. 월 수입 50%는 무조건 저축
사회 초년생이라면 의료실비보험과 같은 보장성보험, 연금저축과같은 세제적격연금 등
필수금융상품을 제외하고는 무조건 월 수입의 50% 이상을 저축해야 합니다.
선 지출, 후 저축을 하는 것에서 벗어나 수입의 절반은 강제 저축하고 나머지 절반으로
택시대신 버스를 타고, 비싼 레스토랑 대신 동네 맛집에서 먹고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면서 훗날 흐믓한 미소를 짓게 될 것입니다.
3. 신용카드를 멀리하고 저축보다는 투자를하라~!
사회초년생의 경우 사회생활을 시작했다는 기쁨에서 신용카드를 발급받고
마음껏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신용카드는 미래 수입을 담보로 현재 외상을 하는거나
다름없으므로 신용카드는 과감히 없애고 체크카드로 지출통장을 만드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수입의 50% 이상을 저축하라고 했는데, 이 50% 저축금액에서 투자금액을 조금
높게 가져갈 필요가 있습니다.
자신의 투자성향, 목표자금이 단기, 중기, 장기인지 고려해서 저축과 투자를 병행하는것이
조금 더 합리적인 방법입니다.
4. 월급관리의 시작~! 주거래 은행 월급통장정하기
사회초년생이 가장 먼저 할 일은 바로 월급통장 만들기 입니다.
이는 수수료로 빠져나가는 돈을 잡을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월급통장 만들기는
가히 수수료 재테크라 부를 만큼 특별한 혜택을 주고 있으며,
모든 은행에서도 월급통장, 급여통장 상품을 내놓고있습니다.
몇몇 은행은 인터넷뱅킹, 폰뱅킹, 모바일뱅킹,등 수수료 면제는 기본이고 자동화기기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 그리고 현금인출 시 발생하는 수수료 등을 면제해주며
자사뿐만아니라 타행 서비스에서 수수료 면제를 해주는경우가 있으므로
각 은행마다 꼼꼼히 비교하는것이 필요합니다.
5. 가계부쓰기, 통장 쪼개기
모든 재테크의 기본은 가계부 쓰기 입니다. 하지만 쓴다고 다 해결되는 건 아니겠죠?
미리 통장을 쪼개서 체게적으로 돌아가는 시스템을 만들고 지출관리를 시작하여
매월 수입과 지출을 분석해보고 어디에 얼마나 쓰고있는지
저축은 많이 하고 있는지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 봐야합니다.
통장 쪼개기는
1. 월급통장(공과금처리)
2. 생활비 통장(체크카드이용, 예상금액 설정)
3. 저축/투자통장(돈을 모은는곳)
4. 비상금통장(배월 생활비 3~5개월 분 모으기 /여유자금 활용)이
가장 기본적인 예입니다.
6. 사회초년생 재무설계 8가지 방법
1. 저축은 평생 함께 데려가야할 친구다.
미혼이라면 50% 결혼했다면 소득의 30%를 저축해야 한다.
2.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확고하게 동기부여하라
얼마나 목표를 뚜렷하게 잡는가에 따라 당신이 얼마나 부자가 될 수 있는지가 달려있다.
3. 단기, 중기, 장기에 따라 금융 투자 포트폴리오를 마련하라.
금융상품은 기간, 목적에 따라 가장 효율적이고 알맞은 금융상품이 다 다르다.
4. 현재 나의 자산 상황을 꼼꼼히 점검하자!
누수자금이 어디서 발생하는지 언제나 주의를 기울이라.
5. 재테크는 여유자금을 만들어서 투자할 자산을 만든는 것이다.
여유자금을 위해 소비부터 통제하라!
6. 신용카다는 될 수 있으면 발급받지 말고 현금이나 체크카드를 사용하여
소비의 구멍을 막자!
7. 절세효과 금융상품, 연말에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소득공제 금융상품은
꼭 꼭! 챙겨라~
특히 소득공제는 13월의 월급이라고 할 만큼 중요하다.
8. 노후준비는 가장 빠른 시기가 가장 늦은 시기이고, 가장 늦은시기가 가장 빠른시기이다.
지금부터 준비하는것이 중요하다.